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

알바니아에서 통장 개설하기

알바니아 통장 만들기

이 정보가 필요한 사람은 별로 없겠지만, 그래도 잊지 않기 위해 적어본다.

이민국 경찰서에서 거주허가증을 받으려면 재정증명을 해야 한다. 한국 통장이 아닌 알바니아의 은행에 돈이 있어야 된다고 했다. 이해할 수 없었지만, 그렇다고 하니까 우선 집 근처 은행에 가서 외국인이 통장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고 물어봤더니 거주허가증이나 워크퍼밋이 있어야 된다고 했다.
은행에서는 거주허가증이 있어야 통장을 만들 수 있다고 하고, 이민국 경찰서에서는 거주허가증을 받으려면 알바니아 은행에 돈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. 완전히 반대되는 이야기를 한다. 어쩌라는 거지?

- 티라나 뱅크: 정보도 제대로 안 주고 불친절.
- 유니온 뱅크: 임시거주허가증으로 통장 만들 수 있다고 함.
- OTP 뱅크: 임시거주허가증 불가, 거주허가증 또는 워크퍼밋 필요하다고 함.

거주허가증을 신청하면 유효기간 2달짜리 임시거주허가증이 나온다. 임시거주허가증을 받자마자 유니온 뱅크로 갔다.

필요한 것: 여권, 임시거주허가증, 집 주소, 아빠 이름
주는 종이에 개인정보 적고, 이름 쓰고 싸인하다보면 끝난다. 한국과 마찬가지로 작은 글씨로 약관이 써있는데, 읽어도 모르니 하라는 대로 싸인했다.
계좌는 유로, 달러, 알바니아 레크로 개설할 수 있었고, 나는 유로로 했다.
아빠 이름은 왜 필요한가 하니, 동명이인일 경우 아빠 이름으로 구분을 한다고 했다. 그렇게 긴 성과 이름인데도 동명이인이 있나 보다. 왜 엄마 이름으로 안 하냐니까 직원도 모른다고 했다.
종이통장은 없고, A4용지에 개인정보와 계좌번호가 적힌 IBAN CERTIFICATE 를 준다.

체크카드도 신청했다. 유효기간 3년짜리 체크카드 발급비 5유로 들었다. 일주일 뒤에 은행으로 카드를 찾으러 오라고 했다. 편지 안에 카드랑 비밀번호가 들어있다. 그 비밀번호 그대로 써도 되고 ATM 기계에서 바꿔도 된다.

한국과 달리 계좌를 유지하는 비용이 든다. 매달 1.5유로.
거주허가증 신청 서류 보완을 위해서 잔고증명서를 받았다. 잔고증명서 발급비는 1000레크였다.

주의할 점
ATM에서 잔고 확인만 해도 수수료가 나가니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

댓글